본문 바로가기

대외활동/서울포럼 2020 SSF 기자단

(10)
[서울포럼2020] 인공지능, 그 다음은 무엇인가? 인공지능의 미래 | 스튜어트 러셀 7월 1일에는 스튜어트 러셀교수님이 특별강연을 맡아주셨습니다. 세계적인 팬데믹의 영향으로 화상을 통해 강연을 진행해주셨는데요, AI의 현상황과 미래에 대해서 강연해주셨습니다. 추가적인 기술 혁신이 따른다면, AI는 정말 많은 일들을 할 수 있게 된다는 데요, '포스트 코로나, 과학기술 초격차가 답이다'라는 서울포럼2020의 주제와 부합하는 강연이었습니다. 태초의 AI는 혼자였다. 인터넷이 만들어지면서, AI는 모바일, IoT 등등의 많은 곳에서 쓰이게 되었다. 딥러닝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input을 가중치를 다르게 하여 training data set을 학습시킬 수 있다. ImageNet의 경우, 수많은 이미지들로 딥러닝을 했는데, 사물인식능력이 사람보다 2배 향상되었다. 이제 자율주행자동차 등 자율..
[서울포럼2020] 코로나와 같은 팬데믹은 다시 반복될 것인가? | 네이선 울프 서울포럼2020의 기조강연은 바이러스 학자, 네이선 울프 박사님께서 맡아주셨습니다. '팬데믹에 관한 연구', '코로나가 어떻게 생겨나는지', '자연에 있는 바이러스를 어떻게 미리 탐지하는가', 등등의 최근 6년간의 연구를 공유하며, 민간부분에서 팬데믹에 어떻게 대비할 수 있을지 사례 중심의 강연을 진행해주셨습니다. 과거에 비해 현재는 사람들의 이동 네트워크가 훨씬 광범위적으로 바뀌었다. 따라서 바이러스가 발병되면, 전세계적으로 전염병이 퍼지는 것은 당연하다. 코로나가 이상한 것? 아니다. 에볼라, 메르스 등 정기적으로 이러한 현상은 일어났다. 바이러스는 어떻게 탄생하는가? 접촉! 야생동물과의 접촉! 야생에는 상당한 많은 바이러스가 있다. 사냥, 수집, 전통적 약재 이용 등의 사람과 야생의 접촉 때문에 사..
[서울포럼2020] 제 2회 서경 우주포럼! 뉴 스페이스(New space) 어디까지 왔나 | 우주포럼 참여 후기 오늘 오전 9시반부터 오후 12시까지, 총 150분 동안, 서울 워커힐 비스타홀에서 우주포럼이 진행되었습니다. 저는 현장 참여를 하였는데요, 오늘 우주포럼에서 이야기 되었던 소식들을 전하도록 하겠습니다~ 서경 우주포럼은 올해로 2회째를 맞이 하는데요, 내년에도 3회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작년에는 미래 우주 사회에 관한 이야기를, 올해에는 민간 산업이 주도하는 'New Space'에 관한 이야기를 하였는데요, 다음해에는 또 어떤 분야를 우주포럼에서 주목하고 발제할지 기대가 됩니다. 이번에는 네이버 TV 실시간 시청 조회수가 1500회를 돌파했는데요(작년에 비해 높은 수치라고 합니다!), 서경 우주포럼과 같은 행사를 통해 국민들의 우주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다면, 이번 우주포럼에서 이야기하는 'Ne..
[서울포럼2020] D-3 부대행사 소개(feat. 생중계로 서울포럼을 만나보자!) 이제 서울포럼이 3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6월 30일과 7월 1일 양일간 진행되는 서울포럼은, 온라인 혹은 현장 참여가 가능합니다! '서울포럼 2020 SSF 기자단' 카테고리에서 서울포럼2020에 관해 작성한 글이 더 있으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럼, 서울포럼 2020에서 진행되는 부대행사인 우주포럼, 유스포럼,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시상식에 대해 알아보고, 실시간 서울포럼 생중계를 어떻게 볼 수 있는지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서경 우주포럼은 서울경제 우주포럼의 줄임말으로, 올해로 2회째 개최하고 있습니다. 6월 30일(화)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12시까지 그랜드&비스타 워커힐 서울 워커홀에서 진행될 예정이고, '뉴 스페이스(New Space) 어디까지 왔나'라는 주제로 진행..
[서울포럼2020] 세션 주제 및 세션 연사 소개(❗feat.무료 참가 이벤트❗) 서울포럼2020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알고 싶다면,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 [서울포럼2020] 코로나 이후의 시대,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알고 싶다면 주목! 저번 포스팅에서, 서울포럼이 무엇인지, 서울포럼2019는 어땠는지에 대해 설명드리고, 서울포럼2020에 대한 기대로 포스팅을 마무리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서울포럼2020의 주제를 소개하고 astro-chaeyeon-sketchbook.tistory.com Session1. 초격차 전략 개방·융합·협력을 통한 과학기술의 차별화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열린 연구로의 전환 연구자 중심 연구개발 정책과 국제적 협력 연구 강화 전염병 극복과 신산업 육성을 위한 융·복합 연구 Session2. 연구개발 혁신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 혁신 포스트..
[서울포럼2020] 랜선참가자 모집! 선착순 300명! (feat.코로나19 집콕) 매해 열렸던, 서울포럼! 이번 2020년에는 랜선 참가자도 모집한다고 하는데요, 코로나19로 집콕중인 국민들을 위해 세계적인 석학들을 온라인에서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합니다. 혹시 서울포럼이 무엇인지 몰랐던 분들은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 [서울포럼 2020] 경제와 과학기술을 한 번에 보는 포럼이 있다고?(feat.2019) 여러분은 서울포럼에 대해 알고 계셨나요? 여기 경제, 과학, 기술, 바이오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 주목해야 할 포럼이 있습니다. 바로 서울경제가 주최하는 '서울포럼'입니다. 그럼 지금부터 서울 astro-chaeyeon-sketchbook.tistory.com 선착순 300명에 한해 서울포럼2020 화상채팅방 링크를 발송해드립니다~ 6월 30일, 7월 1일에 진행되는 서울..
[서울포럼2020] 기조강연자와 특별강연자를 미리 만나보자!(feat.네이선 울프, 스튜어트 러셀) 6월 30일 기조강연 : 네이선 울프 바이러스 학자, 메타바이오타 창립자(현장) 7월 1일 특별강연 : 스튜어트 러셀 UCLA 교수(온라인 연결) 서울포럼2020이 진행되는 6월 30일, 7월 1일에 각각 기조강연과 특별강연이 진행됩니다! 기조강연으로는 네이선 울프 연사님이(위 사진의 오른쪽), 특별강연으로는 스튜어트 러셀 연사님이(위 사진의 왼쪽) 함께하시는데요, 지금부터 두 연사님이 어떤 활동들을 했고 어느 분야를 연구하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네이선 울프(Nathan Wolfe) | 메타바이오 창립자, 바이러스 학자 독창적인 생물학자이자 전 세계가 주목하는 바이러스 전문가로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대유행 바이러스의 연구와 예방에 힘쓰고 있다. 스탠퍼드대학교 인간생물학과 초빙교수를 역임, 전..
[서울포럼2020] 코로나 이후의 시대,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알고 싶다면 주목! 저번 포스팅에서, 서울포럼이 무엇인지, 서울포럼2019는 어땠는지에 대해 설명드리고, 서울포럼2020에 대한 기대로 포스팅을 마무리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서울포럼2020의 주제를 소개하고, 3가지 세션들 중 관심있는 분야를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서울포럼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seoulforum '포스트 코로나 국가생존전략: 과학기술 초격차가 답이다' 2010년부터 해마다 경제와 과학기술의 트렌드를 제시했던 서울포럼인만큼 요새 빼놓고는 이야기 할 수 없는 코로나에 대해 이야기 하는데요, 그 전략으로 과학기술 초격차를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포스트코로나, 과학기술 초격차... 정확히 무슨 의미일까요? 위의 카드 뉴스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포스트코로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