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공부

(13)
[돈공부] KBS 걸작다큐 돈의 힘 제 5부 안전자산,집 요약/느낀점 매력적인 부동산 시장, 매력만 있을까? 흔히들 집이 가장 안전하다고 하는데, 금융권에서도 집이 안전하다고 생각한다(담보로 돈을 빌려주기에). 재산소유 민주주의 : 모든 시민이 개인 재산을 소유해 정치,경제적 삶의 주체로 거듭나야 한다는 민주주의 이론 사람들이 간과한 점 : 부동산의 가격 또한 변할 수 있다! 제 5부 안전자산, 집 과거에는 상류계급만이 부동산을 소유했다. 부동산을 담보로 대출을 한 귀족들은, 극심한 자금난에 시달렸다. 토지의 자산가치가 하락했기 때문에! 미국은 침체된 경제를 살리기 위해 뉴딜정책을 추진! 여기에는 주택정책도 포함되어있었다. 뉴딜 정책 : 대공황 이후 침체된 경제를 되살리고자 미국의 제 32대 대통령인 루스벨트가 추진한 경제정책 내 집 장만! 재산 소유 민주주의! 개인의 주..
[돈공부] KBS 걸작다큐 돈의 힘 제 4부 위험한 거래 요약/느낀점 살다보면 누구나 한 번 쯤 불의의 재난을 당한다. 불확실한 미래를 어떻게 대비할까? 개인의 문제니까 스스로 해결? 국민들의 성금으로 해결? 정부가 재난에 대비해서 세금을 걷어야 할까? 답 : 보험 보험 : 재해나 사고에 대비해 일정한 돈을 적립하고 사고를 당했을 때 일정 금액을 보상 받는 경제제도 영국은 보험료를 많이 내는 나라이다. 왜? 우리는 예측 가능한 미래를 원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제 4부 위험한 거래 뉴올리언스는 허리케인과 홍수로 큰 피해를 입었다. 이 때, 민간보험은 소용이 없었다. 스크러그스(변호사)는 이를 집단 소송 걸었다. 그러자, 일부 회사는 보험금을 지급했다. 스크러그스는 판사를 매수해 소송을 이기려 했고, 이로인해 징역형을 받았다. 결국 일부 회사는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았다..
[돈공부] KBS 걸작다큐 돈의 힘 제 3부 거품과 붕괴 요약/느낀점 다국적 기업이 세계를 지배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다. 대륙을 가로지르는 거대한 송유관 건설 작업을 하는 기업도 있었음. 이는 주식회사의 등장 덕분! 주식회사 : 주식을 발행해 여러 사람들에게 자본을 조달받는 회사로 자본과 경영이 분리되는 회사의 대표적인 형태 16C 화폐와 신용거래 혁신, 17C 채권시장의 등장 다음 단계는, 유한책임회사의 등장! (유한책임회사 : 주주가 채권자에 대하여 졸자한 지분만큼만 책임을 지는 회사) 이런 회사에 힘을 실어 준 것? 주식시장! 미래가치에 대한 예견으로 주식의 가격이 결정된다. 과열된 주식시장은 언제 터질지 모르는 비눗방울과 같다! 제 3부 거품과 붕괴 존로는 네덜란드에서 '주식회사'에 눈 뜬다. 당시 향신료로 인해 동인도회사가 성행이었고, 정부는 이들을 하나로 ..
[돈공부] KBS 걸작다큐 돈의 힘 제 2부 지불약속 요약/느낀점 현대 사회에서 권력은 소수의 엘리트들, 세계 채권시장을 좌우하는 사람들에게 있다. 채권시장의 황제, 미스터 본드, 빌 그로스 채권 : 정부 혹은 은행이나 회사가 사업에 필요한 자금은 차입하기 위해 발행하는 유가증권 금융거래시장과 정치권을 이어주는 연결고리. 정부는 채권을 팔아서 부족한 세금을 채운다. 채권시장의 등장은 은행의 대두 이후로 큰 혁명이었다. 정부가 돈을 빌릴 수 있는 새로운 창구! 채권시장이 포화되면, 집값은 하락한다. 경제위기 속에서 미국의 국공채는 투자자들의 안전한 은신처였음. 제 2부 지불약속 채권시장은 전쟁으로부터 나왔다! 르네상스시절, 유럽국가들은 주변국가들을 정복하기 위해 용병징집인을 모집했다. 용병들에게 임금을 지급하느라, 도시국가들은 빚을 많이 지게 되었다. 어떻게 갚았을까? ..
[돈공부] KBS 걸작다큐 돈의 힘 제 1부 탐욕의 시작 요약/느낀점 ebs 자본주의 5부작 다큐를 보고, kbs 돈의 힘 다큐를 보기 시작! 2007년 여름에 시작된 금융위기. 어떻게 전 세계 경제를 무너뜨렸을까? 금융사의 뒷 이야기 돈의 번영 = 인간의 번영, 하지만 순탄치는 않았다. 금융사는 반복되는 위기를 겪었다. 금융시장 붕괴, 주식시작 폭락의 이유? 돈의 역사를 알아야 알기 쉽다! 돈의 역사 제 1부 탐욕의 시작 금융위기라고 해도, 총 통화규모는 거대하다. 그 때에도 돈을 버는 사람은 있다. 돈이 없는 세상이라면? 500년 전, 잉카제국. 귀금속을 미적가치로만 판단. 노동력이 가치의 단위. 스페인 정복자들이 잉카제국을 정벌하고, 광물이 많은 산을 찾음! 잉카인들은 왜 스페인 사람들이 금과 은을 보고 좋아하는지 몰랐다. 스페인 통치자들은 잉카인들을 광부로 일하게 ..
[돈공부]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1부~5부 요약/느낀점/추천 모든 시리즈물이 그렇겠지만, 첫 화에서 사로잡지 못하면, 그 다음 화를 보는 사람은 적어진다. 또, 첫 화, 첫 문장은 주제를 나타내기에 가장 적합한 자리이다. ebs 다큐 제작진도 다큐를 제작할 때, 이 점을 공략했는지, 1부에서 많은 이야기를 한다. 2부, 3부가 기대되게 한다. 우리에게 모르고 있다는 사실을 깨우치게 해준다. 돈이 어디서 나오는지, 은행은 어떤 식으로 돌아가는 건지, 어떻게 실물 돈보다 훨씬 많은 돈이 유통되는지 등등 자본주의와 돈, 은행의 역할에 대해서 많은 이야기를 해준다. [돈공부]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제 1부 돈은 빚이다 요약/느낀점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제 1부 돈은 빚이다 자본주의란 무엇인가? 어려운 질문. 경제구조에서 가장 성공한..
[돈공부]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제 5부 국가는 무엇을 해야하는가 요약/느낀점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제 5부 국가는 무엇을 해야하는가 위기 속에서도 자본주의는 굳건했다. 250년의 자본주의를 살아가는 우리, 행복해졌을까? 행복이란 무엇일까? 자신의 결정을 스스로 내리는 기회 사람들의 삶이 계속 더 좋아지는 것 즐기기에 충분한 돈을 벌 수 있는 행운을 누리는 것 좋은 삶을 사는 것, 자신이 믿는 가치에 따라 살 수 있는 것. 등등의 석학들의 생각을 들으며 다큐는 시작된다.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제 5부 국가는 무엇을 해야하는가 월가를 점령하라! 탐욕스런 금융자본을 공격하라! 가난한 사람들을 양산하는 시스템을 만들었다! 위기 신자유주의! 정부냐, 시장이냐? 100년에 걸친 논쟁이 다시 시작! 케인스(거시경제학의 아버지) VS 하이에크(신자유주의의 아버지) 랩배틀 시작! 되풀..
[돈공부]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제 4부 세상을 바꾼 위대한 철학들 요약/느낀점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제 4부 세상을 바꾼 위대한 철학들 나는 자본주의 세상 승리자였다. 그러나 모든 건 날라가고 패배하였다. 왜 이런 일이 벌어졌는지, 해답을 알아보자. 경제학의 새로운 아이디어! 아담스미스의 국부론, 이런식으로 다큐의 오프닝은 시작된다.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제 4부 세상을 바꾼 위대한 철학들 아담스미스는 가난한 사람들을 지지했다. 마르크스는 최고의 사상가이다. 케인스는 자본주의를 믿었다. 하이에크는 우리가 자유주의 시장 질서에 살고 있다는 것을 부인할 것이다. 아담 스미스 [도덕감정론] 이기적인 인간이 어떻게 도덕적인 판단을 할 수 있나? 마음속에 공명정대한 관찰자가 있기 떄문이다~ 대륙여행을 통해 당시의 쟁쟁한 사상가들과 만남. -> 국부론의 시작 중상주의 : 국가가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