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30일 기조강연 : 네이선 울프 바이러스 학자, 메타바이오타 창립자(현장)
7월 1일 특별강연 : 스튜어트 러셀 UCLA 교수(온라인 연결)
서울포럼2020이 진행되는 6월 30일, 7월 1일에 각각 기조강연과 특별강연이 진행됩니다!
기조강연으로는 네이선 울프 연사님이(위 사진의 오른쪽), 특별강연으로는 스튜어트 러셀 연사님이(위 사진의 왼쪽) 함께하시는데요, 지금부터 두 연사님이 어떤 활동들을 했고 어느 분야를 연구하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조강연/특별강연 연사님 소개>
네이선 울프(Nathan Wolfe) | 메타바이오 창립자, 바이러스 학자
독창적인 생물학자이자 전 세계가 주목하는 바이러스 전문가로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대유행 바이러스의 연구와 예방에 힘쓰고 있다. 스탠퍼드대학교 인간생물학과 초빙교수를 역임, 전염병의 조기 발견과 억제를 막는 연구소인 '글로벌 바이러스 예보'의 창립자 겸 최고경영자이다. UCLA 종신교수직을 버리고 '바이러스 헌터'가 되어 중앙아프리카의 열대우림과 사냥터, 동남아시아 야생동물 시장까지 세계 전역을 돌며 엄청난 잠재적 파괴력을 지닌 바이러스의 기원과 전염 요인을 분석하고 있다. 저서로는 2012년에 출간한 '바이러스 폭풍의 시대'가 있다.
스튜어트 러셀(Stuart Russell) | UC 버클리대 교수
UC버클리대학교 전기공학 및 컴퓨터과학부 교수이자 UC버클리대학교의 인공지능연구소 (Center for Human-Compatible Artificial Intelligence)를 이끌고 있는 스튜어트 러셀 교수는 인공지능의 이해와 활용, 인공지능의 미래와 인간과의 관계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전문가이다. 또 러셀 교수는 UN의 연구지원을 받으며 데이터 분석을 통해 지진, 기후 등을 예측해 공익에 기여하는 Bayesian Logic의 공동창립자이자 부회장을 맡고 있으며, 스티븐 호킹, 엘론머스크 등과 함께 미국의 퓨처오브라이프 연구소의 과학자문위원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2016년에 출간한(공저) '인공지능:현대적 접근방식'이 있다.
<서울포럼2020 기조강연/특별강연 기대>
네이선 울프 연사님과, 스튜어트 러셀 연사님이 이번 서울포럼2020에서 어떤 주제로 강연을 해주실까요? 아직, 연사님들의 강연주제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두 연사님 모두 본인의 분야와 관련한 '포스트코로나 대응 과학기술'에 걸맞는 강연을 해주시리라 기대됩니다. 특히, 기조강연을 해주시는 네이선 울프 박사님은 바이러스 전문가이신 만큼, '코로나'와 더불어 인류를 위협하는 바이러스, 그리고 연구나 예방체계에 대해서 언급해주실 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 박사님께서는 현 상황을 어떻게 보시는지, 또 포스트코로나 이후의 국가차원 대응 전략에 대해 어떤 말씀을 해주실지 기대가 됩니다. 특별강연은 AI 전문가, 스튜어트 러셀 교수님께서 해주시는데요, '과학기술 초격차'와 어울리는 분야를 연구하고 계신 분이 아닌가 싶습니다. 한 때, 한국프로바둑기사 이세돌님과 AI 알파고의 바둑 대결로 AI에 대한 관심이 뜨거웠는데요, 현재의 AI 기술과 보완해야할 부분,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 등을 제시해주실 것으로 기대됩니다.
기조강연과 특별강연을 맡아주시는 두 분의 연사님 모두, 각자의 분야에서 최전선에 있으신 분들인데요, 현 시국에서 포스트코로나 시대에는 어떤 과학기술이 주목받을지, 앞으로 미래가 어떻게 변화할지를 어떻게 보실지 궁금합니다. 기조강연을 맡으신 네이선 울프 연사님께서는 현장 강연을, 특별강연을 맡으신 스튜어트 러셀 연사님은 온라인 연결로 강연을 해주실 예정입니다. 서울포럼2020에 온라인으로 참여하시고 싶으신 분들은, 글 하단에 참여방법이 적힌 링크를 남겨두었으니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TED강연에서는 어떤 강연을 해주셨을까?>
지금까지 서울포럼2020에 참여하시는 2분의 연사님에 대한 소개와 강연에 대한 기대를 여러분께 전해드렸는데요, 하지만 백문이 불여일견이라고, 연사님들이 했던 다른 강연을 리뷰하도록 하겠습니다. 2분의 연사님 모두 TED에서 강연을 해주셨습니다. TED는 'ideas worth spreading'이라는 목적을 가진 비영리단체인데요, 세계적으로 널리 퍼질만한 아이디어를 갖고 계신 연사님들께서 강연을 해주시고 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네이선 울프 연사님과 스튜어트 러셀 연사님의 TED 강연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TED강연] What's left to explore? | Nathan Wolfe
'What's left to explore?' 네이선 울프 박사님께서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강연을 진행한 후, 한 초등학생 여자아이에게 받은 질문이라고 합니다. 박사님은 이 질문에 깊은 감명을 받았다고 합니다. 강연 제목으로도 내세우셨죠. 왜일까요? 바이러스 학자에게 저 질문이 그렇게 중요한 것일까요? 박사님은 이 질문에 우리가 모르는 암흑 세계를 탐험해야 한다고 말씀하십니다. 바이러스 또한 발견되기 전까지는, 우리 일상 속에 함께 했지만 함께 하는 줄 몰랐습니다. 세균보다 작은 무엇이 있을 것이다~하는 연구자의 집념 덕분에 바이러스는 발견이 되었고, 이러한 부분이 바로 우리가 더 탐구해야 할 부분인 것입니다. 그럼 과학이 발달한 지금은, 더 탐험할 곳이 없을까요? 아닙니다. 우리는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생명체의 게놈정보를 수집하고, 파악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정보로는 설명할 수 없는, 미지의 'biological dark matter'가 있습니다. 이전 시대의 사람들이 바이러스의 존재를 몰랐던 것 처럼, 우리도 '그 어떤 무언가'를 모르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박사님은, 이미 지구상에 있는 것은 모두 알려진 것이 아니냐, 심해나 우주에 가야 새로운 것을 발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냐는 질문에, 아직 우리 주변에도 미지의 세계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십니다. 저는 이 강연을 보고 어떤 분야든 자세하게 파고들면, 미지의 세계가 너무나도 많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또, 아직 알려지지 않은 biological dark matter의 정체가 무엇인지 궁금해졌습니다. 이 테드강연은 2012년도에 유튜브에 올라온 강연인데요, 그로부터 8년이 지난 지금, 바이러스 학자 네이선 울프 박사님께서는 어떤 강연을 진행하실까요? 다가오는 6월 30일 서울포럼2020을 통해 확인하고 여러분께 전하도록 하겠습니다.
[TED강연] 3 principles for creating safer AI | Stuart Russell
'3 principles for creating safer AI' 스튜어트 러셀 교수님께서는 TED강연을 통해 안전한 AI를 위해 어떤 원칙이 필요한지에 대해 설명하십니다. 강연을 시작할 때, 이세돌과 알파고의 바둑대결을 언급하면서 시작하시는데요, 그러면서 AI가 인간을 뛰어넘는다는 불안에 대해서 이야기 하십니다. 그리고 교수님은 SF 영화에서 나오는 AI가 인간을 지배한다는 설정에 대해, 아니다! 충분히 우리가 잘 통제만 한다면, AI를 통해 경제적으로 효율적인 일들이 가능해질 것이고, 인류와 양립할 수 있을 것이다~라는 입장을 드러내십니다. 교수님이 이야기하는 인간과 AI의 양립 원칙은 총 3가지인데요, 1. The robot's only objective is to maximize the realization of human values 2. The robot is intially uncertain about what those values are 3. Human behavior provides information about human values 이렇게 3가지 입니다. 각각의 원칙이 왜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예시를 들어 재밌게 설명해주시는데요, 궁금하신 분들은 한 번 보시길 바랍니다. AI 시대의 도래, AI가 인간을 뛰어넘는다? 오래전부터 AI와 관련하여 여러가지 소설 등도 나온 만큼, 많은 분들이 AI에 대해 궁금해하실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러셀 교수님의 TED 강연이 매우 재밌었는데요, 교수님이 AI를 사랑하고 더욱더 발전시키고 싶어한다는 의지가 보여서 더욱 재밌었던 것 같습니다. 서울포럼2020의 특별강연의 내용도 기대하면서 이만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네이선 울프와 스튜어트 러셀 연사님의 강연이 궁금하다면? 서울포럼2020 랜선참가❗❗
[서울포럼2020] 랜선참가자 모집! 선착순 300명! (feat.코로나19 집콕)
매해 열렸던, 서울포럼! 이번 2020년에는 랜선 참가자도 모집한다고 하는데요, 코로나19로 집콕중인 국민들을 위해 세계적인 석학들을 온라인에서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합니다. 혹시 �
astro-chaeyeon-sketchbook.tistory.com
서울포럼2020에는 어떠한 강연들과 행사들이 준비되어 있을까? 다시보는 서울포럼2019
[서울포럼2020] 경제와 과학기술을 한 번에 보는 포럼이 있다고?(feat.2019)
여러분은 서울포럼에 대해 알고 계셨나요? 여기 경제, 과학, 기술, 바이오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 주목해야 할 포럼이 있습니다. 바로 서울경제가 주최하는 '서울포럼'입니다. 그럼 지금부터 서울
astro-chaeyeon-sketchbook.tistory.com
[서울포럼2020] 코로나 이후의 시대,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알고 싶다면 주목!
저번 포스팅에서, 서울포럼이 무엇인지, 서울포럼2019는 어땠는지에 대해 설명드리고, 서울포럼2020에 대한 기대로 포스팅을 마무리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서울포럼2020의 주제를 소개하고
astro-chaeyeon-sketchbook.tistory.com
'대외활동 > 서울포럼 2020 SSF 기자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포럼2020] 세션 주제 및 세션 연사 소개(❗feat.무료 참가 이벤트❗) (0) | 2020.06.19 |
---|---|
[서울포럼2020] 랜선참가자 모집! 선착순 300명! (feat.코로나19 집콕) (0) | 2020.06.09 |
[서울포럼2020] 코로나 이후의 시대,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알고 싶다면 주목! (0) | 2020.06.06 |
[서울포럼2020] 경제와 과학기술을 한 번에 보는 포럼이 있다고?(feat.2019) (0) | 2020.06.05 |
생애 첫 기자단 활동! | 서울포럼 2020 SSF 기자단 활동 소감 및 계획 (0) | 2020.06.03 |